티스토리 뷰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크게 핵심기능과 부가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핵심기능 : 해당 객체가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
부가기능 : 핵심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 ex) 로그 추적 로직, 트랜잭션 기능
주문 로직을 실행하기 직전에 로그 추적 기능을 사용해야 하면, 핵심 기능인 주문 로직과 부가 기능인 로그 추적 로직이 하나의 객체 안에 섞여 들어가게 된다. 부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 이렇게 둘을 합해서 하나의 로직을 완성한다.
여러 곳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부가 기능
보통 부가 기능은 여러 클래스에 걸쳐서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모든 애플리케이션 호출을 로깅 해야 하는 요구 사항을 생각해보자. 이러한 부가 기능을 횡단 관심사 (cross-cutting concerns)가 된다. 쉽게 이야기해서 하나의 부가 기능이 여러 곳에 동일하게 사용된다는 뜻이다.
부가 기능 적용 문제
그런데 이런 부가 기능을 여러 곳에 적용하려면 너무 번거롭다. 예를 들어서 부가 기능을 적용해야 하는 클래스가 100개면 모두에 동일한 코드를 추가 해야한다.
별도의 유틸리티 클래스로 만든다고 해도, 해당 유틸리티 클래스를 호출하는 코드가 결국 필요하다. 그리고 단순 호출이 아니라 try catch 같은 구조가 필요하다면 더욱 복잡해진다. 수정은 더 큰 문제이다. 수정 사항이 필요하다면 100개의 클래스 모두를 하나씩 찾아가면서 수정해야한다.
부가 기능 적용 문제 정리
- 부가 기능을 적용할 때 아주 많은 반복이 필요하다.
- 부가 기능이 여러 곳에 퍼져서 중복 코드를 만들어낸다.
- 부가 기능을 변경할 때 중복 때문에 많은 수정이 필요하다.
- 부가 기능의 적용 대상을 변경할 때 많은 수정이 필요하다.
AOP - 애스펙트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을 분리
애스펙트는 쉽게 이야기해서 부가 기능과, 해당 부가 기능을 어디에 적용할지 정의한 것이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어드바이저도 어드바이스(부가 기능)과 포인트 컷(적용 대상)을 가지고 있어서 개념상 하나의 애스펙트이다.
애스펙트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방식을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이라 한다.
AOP 적용 방식
AOP 적용 방식에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 컴파일 시점
- 클래스 로딩 시점
- 런타임 시점 (프록시)
컴파일 시점
.java 소스 코드를 컴파일러를 사용해서 .class를 만드는 시점에 부가 기능 로직을 추가 할 수 있다. 이 때는 AspectJ가 제공하는 특별한 컴파일러를 사용해야 한다. 컴파일 된 .class를 디컴파일 해보면 애스펙트 관련 호출 코드가 들어간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하면 부가 기능 코드가 핵심 기능이 있는 컴파일된 코드 주변에 실제로 붙어 버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이렇게 원본 로직에 부가 기능 로직이 추가되는 것을 위빙(Weaving) 이라 한다.
컴파일 시점 - 단점
컴파일 시점에 부가 기능을 적용하려면 특별한 컴파일러도 필요하며 복잡하다.
클래스 로딩 시점
자바를 실행하면 자바 언어는 .class 파일을 JVM 내부의 클래스 로더에 보관한다. 이 때 중간에서 .class파일을 조작한 다음 JVM에 올릴 수 있다. 자바 언어는 .class를 JVM에 저장하기 전에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클래스 로딩 시점 - 단점
로드 타임 위빙은 자바를 실행할 때 특별한 옵션 (java - javaagent)을 통해 클래스 로더 조작기를 지정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번거롭고 운영하기 어렵다.
런타임 시점
런타임 시점은 컴파일로 다 끝나고, 클래스 로더에 클래스도 다 올라가서 이미 자바가 실행되고 난 다음을 말한다. 자바의 메인 메서드가 이미 실행된 다음이다. 따라서 자바 언어가 제공하는 범위 안에서 부가 기능을 적용해야 한다.
스프링과 같은 컨테이너의 도움을 받고 프록시와 DI 빈 포스터 프로세서 같은 개념들을 총 동원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로 프록시를 통해 스프링 빈에 부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록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AOP 기능에 일부 제약이 있다. 하지만 특별한 컴파일러나, 자바를 실행할 때 복잡한 옵션과 클래스 로더 조작기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부가 기능이 적용되는 차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컴파일 시점 : 실제 대상 코드에 애스팩트를 통한 부가 호출 코드가 포함된다. AspectJ를 직접 사용해야 한다.
- 클래스 로딩 시점 : 실제 대상 코드에 애스펙트를 통한 부가 기능 호출 코드가 포함된다. AspectJ를 직접 사용해야한다.
- 런타임 시점 : 실제 대상 코드는 그대로 유지된다. 대신에 프록시를 통해 부가 기능이 적용된다. 따라서 항상 프록시를 통해야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 AOP는 이 방식을 사용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 후처리기 (BeanPostProcessor) (0) | 2025.03.18 |
---|---|
스프링 AOP - 용어정리 (0) | 2025.03.18 |
Spring Security + Jwt 구현 (0) | 2024.07.30 |
Spring DB - 커넥션 풀 (0) | 2024.07.11 |
Spring DB - JDBC (0) | 2024.07.08 |